서버 기반 컴퓨팅(SBC) 사업 본격화를 선언한 KT

 

KT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와 한국휴렛패커드(HP)와 제휴(MOU)를 맺고 20일 서버 기반 컴퓨팅(SBC) 사업을 선언했다.

 

서버 기반 컴퓨팅(SBC)PC가 아닌 서버를 통해 모든 소프트웨어를 구동시켜주는 시스템이다.

윈도우즈나 엑셀, 워드, 각종 백신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 이들 소프트웨어가 담긴 CD를 일일이 PC에 설치해야 했으나 SBC 시스템 환경에서는 서버 내에 모든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주므로 이런 수고를 덜게 된 것이다. 이는 소프트웨어 구동 주체가 개인 PC가 아닌 서버로 바뀐 것으로 SBC를 이용하면 각 PC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KT SBC 첫 적용 분야로 교육시장을 선택할 전망이며 향후 기업과 개인 등으로 영역을 넓혀 SBC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BC 환경은 분명 한 곳에서 모든 소프트웨어 및 네트웍 접근을 관리하므로 학생들의 성인사이트 접근이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상당한 도입효과가 발생하겠지만  
기우일지는 모르겠는데 개인이 PC를 사용하는 목적이 데이터를 검색하고, 게임을 하고, 음악을 듣는 등  원래의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생성해내는 일과는 연관이 없는 목적도 있지만 자신의 데이터 생성하는 작업들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결국 자신만의 데이터를 보존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결국 USB같은 이동형 저장매체를 이용해서 자신의 PC로 가져가 작업하고 다시 SBC환경으로 가져와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요즘같이 웜바이러스, P2P프로그램 사용으로 인한 보안위험 노출된 PC로부터  한 PC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위험에 노출되었을 경우 위험성은 증대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어 있다면 도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더불어 Windows 서버 계열을 사용해보면 이와 비슷한 기능들을 볼 수 있는데 그 쪽 분야를 공부해두는 것도 관련 분야로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Posted by 원철연(체르니)
,

VS2008을 설치하고 MSSQL 2005 Express가 설치되었는데 어떻게 VB에서 DB를 컨트롤 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찾은 것을 올립니다. 혹시라도 제 글에 부족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셔서 다른 분들과 제가 한 수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컴퓨터에 설치된 Microsoft SQL Server 2005에 들어가시면 달랑 Configuration Tools만 있습니다.

Configuration Tool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SQL Server Configuration Manager를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에는 SQL Server(SQLEXRPRESS) StateRunning 상태이지만 SQL Server BrowerStopped 상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QL Server Browser 속성에서 Start ModeStopped를 클릭하여 Automatic으로 변경하면 앞서 Configuration Manager Running으로 변경된다.

자 이제 비주얼 스튜디오 2008을 시작해서 새 프로젝트를 열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 번째를 선택하고 OK를 누른다.
Server Explore가 안보일 경우는 View메뉴에서 선택하거나 (Ctrl + ALT + S) 를 눌러서 보여주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다음 Data Connection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 Add Connection…을 선택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Data Source: Change를 선택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하는 DATA의 유형을 변경하여 선택한다.

다음은 DATABASE를 만들어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상으로 DB연결 관련한 부분들을 알아 보았고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SSQL 2000EM(Enterprise Manager)가 포함된 것처럼 보인다
이상으로 Visual Studio 2008 VB환경 DB연결의 한 부분을 알아보았다.
오늘도 프로그래밍에 밤샘을 하는 분들이 보신다면 너무 건강해치는 수준까지는 하시지
말길..

물론 직장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 경험상 아무리 열심히 밤샘을 하고 노력해도 그에 따른 보상보다는 잘하면 밥값은 하네 정도니까 남는 건 몸이 망가진 씁쓸한 때가 있었습니다.

Posted by 원철연(체르니)
,
프로그램을 접은지 오랜만에 노트북도 구매한 겸 vista에 프로그램 환경을 구축해 보았는데
vista에는 visual studio 2005를 설치하다가 충돌이 생겨 설치가 안되어 2008을 깔아
visual Basic으로 간단한 예제를 하나 만들어서 환경이 어떻게 되는지 보았다.


[참고] visual studio 2005 설치하다 마지막 실패했을 때 순서대로 제거해줘야 할 프로그램 리스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Visual Studio 2008 설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나는 Visual Basic Development Settings 선택하고 Start Visual Studio 클릭

사용자 삽입 이미지

File메뉴에서 New Project를 선택하기 전에 Tools->Options를 클릭하여
프로젝트 저장 디렉토리 변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Projects and Solutions 선택하여 저장할 디렉토리를 변경해준다.

이제 새로운 프로젝트를  눌러서 레이블 하나 만든 Test 파일을 만들어보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의 Visual Basic 5, 6 환경에서 짠 경험이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환경처럼 보여졌다.
F5를 눌러 실행해보니 친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으로 Visual Studio 2008을 설치해 보았다. (다시 삽질를 한번 해볼까? ^^;;)
Posted by 원철연(체르니)
,

아시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제 지식을 공유한다는 차원에서 휴대폰 요금이 시내전화요금에 비해서 훨씬 비쌀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한 제 나름대로 생각한 바를 간단하게 피력하고자 합니다.

일반전화
  1.
시내전화는 유선사업자들이 전체 시스템을 설치. 관리
  2.
유선사업자들이 전체 비용을 산정을 하고 전화요금에 반영
  2.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통신보다 상대적으로 에러율이 낮다.
  3.
시스템의 복잡도가 낮다.

휴대폰

1. 휴대폰은 이통 통신사업자들이 전체 시스템 중 일부 설치(기지국 등)을 설치
  O
이통사 전국에 0,000개 기지국 설치 이런 광고 좀 많이 보셨었죠^^;;
 
이제는 통화가 잘터지고 품질이 좋아졌어요~~
2.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전체 비용을 산정하고 휴대폰요금에 반영
3.
무선통신의 통신환경 특성상 에러율이 유선통신보다 훨씬 높다.

   4. 시스템의 복잡도가 높다.

먼저 일반전화는 유선사업자들이 전체시스템을 설치하고 관리하고 그 비용을 산정하기 때문에 비용산정에 영향을 주는 유통에서 말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거치지 않습니다.
또한 통화자들이 통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루틴도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에러율이 낮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에러 처리와 비용이 적게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상대적인 것이지만요.

그럼 휴대폰에 관련하여 알아볼까요?
혹시 휴대폰이 유선처럼 단순히 휴대폰 대 휴대폰만으로 통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분이 계신지도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휴대폰 대 휴대폰 통화유형
조건 : 통화자들이 정지상태에 있을 경우 즉 통화하는 동안 특정 기지국 영역에
         머물러 있을 경우

서울에서 고등학교를 다니고 있는 홍길동이 서울 강남역에서 비가 오는 날 휴대폰으로 대전의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근무하고 있는 아버지한테 전화를 했을 경우 내부적으로 들어가보면 그냥 메시지만을 고려했을 경우

   1)
홍길동이 휴대폰으로 안녕하세요. 아버지 잘 지내시지요라고 말하면.
   2)
홍길동이 있던 강남역의 부근의 이통사 기지국으로 이 메시지가 전달됩니다
.
   3)
그 기지국과 연결된 유선망으로 메시지가 전달이 되고

   4)
그 유선망과 연결된 대전의 유선망으로 메시지를 전달
   5)
전달받은 메시지를 대전의 유선망에서 아버지가 있는 곳과 연결된 이통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6)
그 기지국은 다시 메시지를 무선으로 아버지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보내
      
홍길동 아버지가 “안녕하세요.아버지 잘 지내시지요라는 메시지를 듣게
       됩니다
.

물론 위의 예시는 완벽하게 실제로 그렇게 이루어진다고 저는 장담할 수 없지만
거의 위와 같은 방법  , 무선-유선-무선의 형태를 취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무선환경을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경우(:GPS, SKT의 위성 DMB)도 있습니다만 휴대폰 대 휴대폰에서 중간에 인공위성을 이용하는지는 제 지식의 한계영역이므로 논외로 합니다.(-_-;;)

결론적으로 일반전화와 휴대폰에 대해서 간략하게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전술한바와 같이 휴대폰 통화를 하기 위해서 일반전화에 비해서 훨씬 더 복잡하고 유, 무선 영역을 넘나들다 보니 유통시장에서처럼 중간에 단계가 많이 생겨서 원가산정에 들어가는 비용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여기서 상호접속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정리하여
올리기로 하구요. 이상으로 제 나름대로의 주제에 대한 생각을 마칩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방송과 통신의 화두인 IPTV에 관련하여 제가 직장에서 다루었던 경험들과 습득한 정보들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1시간 가량 지나면 2007년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군요.
남은 한 시간을 소중하게 보내세요. 그럼 이만

Posted by 원철연(체르니)
,

대통령 인수위원회의 휴대폰 요금 20% 인하 방안을 보면서 조금은 황당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이유는 그 전에 정부조직을 대폭 개편하겠다는 이명박 당선자의 말에도 상당히 우려가 되는 느낌을 받았었는데 휴대폰 요금을 20% 낮춰주겠다고 하니
휴대폰 요금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써 국민들을 생각해주는 마음은 참으로 고마우나 박정희의 유신시대처럼 국가가 기업을 좌지우지하던 시대도 아닌데 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정말로 국민을 위해 통신요금정책을 변경하고 싶으면 권력을 실질적으로 이양받은 후 기존의 정통부에 요청하거나 시장질서에 맞게 과학기술의 발달로 방송과 통신이 구분이 애매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방송+통신을 결합한 새로운 주무부서로 개편한 다음 그 주무부서에게 권한을 주어 이 문제를 검토하고 관련 단체들, 공청회 등을 통해서 다루어지는 것이 순리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휴대폰 요금 20%인하 방안에 대해서 주무부서인 정보통신부는 인수위의 눈치를 보는 건지 뚜렷한 입장표명을 유보하고 있다고 한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Posted by 원철연(체르니)
,
하루에도 적게는 수십통에서 많게는 수백통까지도 어디에서 왔는지도 모르는 이메일과 휴대폰으로 걸려오는 이상한 전화, 이상한 메시지 등
이로 인해 짜증이 날 때가 종종 있을 겁니다.
전화를 받았는데 곧바로 끊어지거나 아니면 벨 1번만 울리고 끊어지고

혼란스러운 경우가 참 많은데요.

메일서버나 사이트 관리자 같은 스팸과 직접 연관된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아직도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스팸에 대해서 정리하여 올려봅니다. 저는 작년에 대량 이메일 광고를 진행할 수 방법을 강구하라는 지시에 따라 봤었는데 합법적인 이메일 광고 방법이나 전화멘트 방법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잘되어 있어서 적지않은 도움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

결국 회사에서 대량 이메일 광고 메일 발송은 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광고 메일을 받을 수신자를 합법적으로 모집할 방법이 없어서 였습니다.
물론 그 때도 법을 약간 악용해서 이메일 주소를 대량으로 모으는 사람들도 있었고
대량 발송을 해 줄테니 광고 이미지만 가져오시요 싸게 보내주겠다고 요청이 온 적도 있지만 검토해 보고 저는 진행할 수 없다고 저희 사장님한테 보고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혹시라도 이 글을 읽는 분 중에 이런 광고를 생각하고 있는 분이 있다면 그냥
하시지 않는게 좋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엄연히 불법이거든요.


자 이제 스팸에 대해서 알아 볼까요? 

1. 스팸(spam)의 정의
이메일이나 휴대폰 등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말기로 본인이 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전송되는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

[
참고자료] 한국 정보 보호 진흥원(KISA) 불법스팸대응센터
           http://www.spamcop.or.kr/spamcop.html
          
올라온 공지사항의 스팸방지 가이드라인 게시 참고
          
클릭하면 관련 내용을 다운로드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2. 스팸방지를 위한 국내외 활동 및 관련 사이트


2-1.
국내

한국 정보 보호 진흥원(KISA)의 불법스팸대응센터
http://www.spamcop.or.kr/spamcop.html
국민의 스팸관리 상담 및 불법스팸신고를 원활히 처리하기 위하여 20031 24 한국 정보 보호 진흥원(KISA)내에 개설

스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각종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스팸방지 프로그램을 개발 배포하는 등 기술적인 대책마련도 함께 하고 있는 곳

  제공되는 서비스 및 내용
  (1)
광고주, 사이트 관리자 및 메일 서버 관리자 등이 알아야 할 사항
 
(2) 이메일이나 전화(휴대폰)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알아야 할 사항
 
(3) 각종 스팸(이메일,전화, 휴대폰, 게시판, 팩스, 전자적 매체 등)
       신고 방법 제시
  (4)
불법 스팸 대응 방법 제시
 
(5) 관련 프로그램 제공

2-2. 국외
경제 개발 협력기구(OECD) 에서 하고 있는 노력들을 볼 수 있는 곳
http://www.oecd.org/department/0,3355,en_2649_22555297_1_1_1_1_1,00.html

스팸만을 위해 구성되었던 테스크 포스 연관된 사이트

http://www.oecd-antispam.org/

[참고자료] http://www.spamcop.or.kr/spamcop.html 에서 번역본을 볼 수 있음
자료실의 OECD Anti-Spam Toolkit 권장 정책 및 대응방안을 클릭하면
다운로드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상식]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의 탄생 과정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현재 OECD는 선진 공업국을 중심으로 구성된 경제에 관한 국제협력기구로 파리에 본부가 있습니다. 회원국은 유럽 각국, 미국, 일본 등 29개국의 선진공업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났을 당시 유럽은 전쟁으로 대부분의 생산시설이 파괴되었고 완전한 경제적 파멸 상태에 있었습니다.

이러한 유럽의 경제적 곤란을 타개하기 위해 당시 미국의 마샬 국무장관은 1946 6월 전후 유럽경제재건에 있어서 유럽 전체에 대해 미국이 원조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마샬 플랜입니다.

이 성명에 따라 시작된 대규모 원조를 받아들이게 된 유럽 각국은 협력체제의 정비가 필요하여 1948 4월 마샬 플랜을 수용하기 위한 기구로서 OEEC(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 ; 유럽경제협력기구)를 출범시킵니다.
OEEC
는 그 후 유럽경제의 부흥과 발전 그리고 역내 무역자유화 촉진 등 유럽 자유주의 국가 간의 긴밀한 경제협력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기간 동안 미국, 캐나다 양국과 유럽 각국과의 관계가 한층 긴밀해져 양국은 1950 OEEC의 준회원국이 됩니다.

1950
년대 후반까지 OECC는 거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기 때문에 전세계가 미국과 소련, 즉 민주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으로 재편되는 시점에서 미국으로서는
대등한 동반자로서 자유주의 경제권의 발전을 도모하게 되고 OEEC를 대서양에 걸친 선진 각국의 경제협력기구로 개편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그 결과 1960 12 OEEC 18개 회원국에 추가로 미국과 캐나다를 받아들여 20개국 각료와 당시 유럽공동체(EEC(유럽경제공동체)), ECSC(유럽석탄철강공동체), EURATOM(유럽원자력공동체)의 대표가 한 자리에 모여경제협력개발기구조약’(OECD조약)에 서명함으로써 국제경제 전반에 대해 협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OECD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그 후 일본,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 한국 등이 가세하여 OECD는 범 지구적인 국제기구로서 발전하게 됩니다.

스팸없는 일상을 기대하면서….
오늘도 편안한 밤 되세요.





Posted by 원철연(체르니)
,

너무 일찍 깨어서 몇 자 적어 봅니다.
모든 일이 다 쉬운 일은 없듯이 컴퓨터를 공부한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쉽지 않은 일인 것 같습니다.

크게 컴퓨터 공부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드웨어는 전자공학이나 메카트로닉스, 컴공과, 정보통신과 등 컴퓨터와 관련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물론 간단한 조립은 예외로 하고요.

그 반면에 소프트웨어 쪽은 하드웨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전문가가 접근하기에 쉬운 분야인 것 같습니다.

대학교, 대학원, 짧은 4년간의 직장생활 동안 틈틈히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느낀 점은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기술, 언어 등이 등장하고 복잡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그것들이 나올때마다 따라가려고 노력하는 것은 바보스러운 선택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중요한 것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가 무엇인지, 즉 어느 분야로 나갈 것인지를 잘 생각해서 그 분야와 연관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한 제반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예를 들면 자신은 하드웨어 장치 제어 같은 분야로 진출하고 싶은데
당장 웹 프로그램을 하면 안되겠죠.
C,
어셈블리 같은 저수준 레벨언어 물론 어떤 분야는 자바로도 컨트롤 하니까 그에 맞게 공부를 하면 되겠지요.

배우려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운영체제, DB가 정해지면 공부를 시작하면 되겠지요. 공부하는데 있어 가장 좋은 접근법은 이미 공부하려는 분야의 전문가한테 직접 배우는게 좋겠지만 그러지 못하는 게 현실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좋은 학습도구를 선택하는 게 필수적이고 그리고 꾸준히 공부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서론이 길었군요.저는 컴퓨터를 공부하는데 있어 참고할 만한 사이트를 저한테 꼽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서버,프로그래밍 언어 통틀어서 아래의 사이트들을 추천하는 바이며 보다 많은 정보들은 공부하시면서 외국의 사이트를
많이 접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의외로 프로그램 소스를 포함한 좋은 정보를 공개한 곳들이 많거든요.
그런 좋은 사이트는 공부하시면서 찾으시길....

끝으로 뛰어난 고수가 되길 원한다면 영어를 꼭 공부하시길...
좋은 자료들은 외국사이트에 많이 있습니다.

Windows 계열
1. codeproject 소스를 구할 수 있음 가장 좋은 사이트(강력 추천)
   http://www.codeproject.com/

2. Microsoft Developer Network
  
http://msdn2.microsoft.com/en-us/default.aspx


Windows 계열
1. http://kldp.org
Posted by 원철연(체르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