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Derivatives)
자산가치가 다른 상품 가격에 의해 결정(Derived)되는 상품
우리나라는 장내파생상품인 KOSPI200 옵션이 대표적인 파생상품임.
1. 파생상품의 분류
a. 상품파생 : 곡물, 원자재와 같은 것이 기초자산일 경우
b. 금융상품파생 : 환율, 금리, 주식 등이 기초자산일 경우
c. 신용파생상품 : 부도 위험을 기초자산으로 한 경우 이해하기 쉽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악명을 떨친 부채담보부채권(CDO)가 대표적인 예
2. 파생상품의 양면성
모든 파생상품 거래는 당사자 간에 거래동기와 가격에 대한 기대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B회사 주식보유자가 풋옵션(B회사 매도권리)을 매입한다면 이 주식보유자는 주가하락을 염두에 뒀다고 볼 수 있다. 즉 풋옵션 매입 이후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가치가 하락하면 사전에 정해진 가격에 주식을 매도함으로써 가격하락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풋옵션 매도자는 B회사의 주가가 상승할 확률이 하락할 확률보다 높다고 믿기 때문에 프리미엄 수취대가로 풋옵션을 매도하게 될 것이다.
파생상품은 거래비용이 저렴하고 레버리지가 높아 기초자산보다 시장상황 변화, 즉 금리나 환율 등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즉 가격변동성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
따라서 파생상품은 보유자산에 내재된 가격 불확실성을 제거해주는데다 적은 자금으로도 거래에 참가할 수 있어 시장 규모를 키우고 지초자산을 제고할 수 있는 순기능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와 같이 파생상품을 대상으로 레버리지 투자나 투자자 환매 요구가 집중될 때는 금융시스템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는 단점도 노출되어 있다고 한다.
출처 : 매일경제
'기타 유용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artHall과 고종기념비 (0) | 2008.05.29 |
---|---|
남미국가연합(UNASUR) 출범 (0) | 2008.05.26 |
한국형 MBA (1) | 2008.05.14 |
빌게이츠가 시연한 월드와이드 텔레스코드(WWT) (0) | 2008.05.07 |
내용증명 및 배달증명 보내는 방법 (0) | 2008.05.07 |